전체 글 (81) 썸네일형 리스트형 [0630] 자바 기초 2 (변수와 타입) #데이터와 메모리 컴퓨터의 메모리(RAM)는 1byte 크기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셀의 집합체. 각 메모리셀은 고유 번호를 가지고 있고, 이를 메모리 주소라고 한다. 컴퓨터는 데이터를 메모리(메모리 주소)에 임시로 저장해둔다. 저장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파악합니다. (2) 필요한 만큼의 메모리 공간을 확보합니다. (3) 값을 저장할 공간에 이름을 지정합니다. (4)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값을 저장합니다. 컴퓨터는 (1)에서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데이터의 타입(유형)으로 판단한다. 이 때 확보한 메모리 공간에 붙인 이름을 변수라고 한다. (1)~(3): 변수를 선언한다. (4): 변수에 값을 할당한다. #변수 :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0629] 자바 기초 1 (컴파일러, JVM/JRE/JDK, 메서드) #컴파일러 자바는 프로그래밍 언어다. 컴퓨터가 프로그래밍언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계어로 변환되는 과정이 필요하다. 프로그래밍언어는 컴파일러를 통해 기계어로 변환된다. 컴파일러는 자바로 작성한 코드를 바이트코드를 변환시켜 JVM에 보낸다. JVM은 각 운영체제에 맞는 기계어로 변환시킨다. #JVM JVM은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도구다. 자바는 JVM이라는 창 위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컴퓨터의 운영체제(윈도우, 맥, 리눅스 등)의 규칙을 따르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JRE와 JDK JRE는 자바의 실행과 관련 있는 도구들이다. 즉, 자바를 실행시키는 데 필요하다. JDK는 JRE + 개발 도구 다. 자바를 이용해 개발까지 하고자 한다면 JDK를 설치해야하는 것이다. JDK의 버전은 매우 다양한데, .. 첫 걸음 벌써 1년이 지났다. 친구의 소개로 파이썬 강의 PY4E를 듣게 되었고, 컴퓨터에 대화하는 것과 개발자 문화에 매력을 느꼈다. 그리고 개발자라는 길에 발걸음을 내딛게 되었다. 이어서 22년 8월부터 23년 2월까지 코드스테이츠 교육기관 부트캠프를 듣고 수료를 했지만 자신이 없었다. 교육과정에서 만난 동료들은 나보다 실력이 뛰어났고, 내가 할 수 있는 건 많이 없었다. 낯선 땅에 발을 들인 이방인 비전공 무경력인 내가부트캠프도 힘들게 수료한 내가취업을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에두려움과 일단 급한 일부터 해보자는 생각에 인텔리를 켜지 않은 채 3개월이 지났다. 더 무너지기 전에 다시 시작해보려고 한다. 다시 첫 걸음을 개발지에 남긴다.!순례자의 마음으로 앞으로 이 길 위에서 어디로 갈 지 모르지만 일단.. 이전 1 ··· 24 25 26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