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81)
[0717] 자바 객체지향프로그래밍 1 (클래스와 객체) #왜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인가? 객체는 실재하는 대상(Object)를 뜻한다. 프로그래밍에서의 객체는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또는 식별자에 의해 참조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이란 프로그램 안에서 각각의 기능과 역할을 가진 객체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프로그램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래밍 방법론을 지칭한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지향할 때, 각각의 속성과 기능을 가진 객체들은 다른 프로그램에서 사용되거나 수정될 수 있어 프로그램 개발 및 유지 보수에 용이하고, 객체를 통한 데이터 관리로 손실 없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자바에서는 클래스, 클래스가 만들어지는 필드와 메서드, 생성자를 사용한다. #클래스와 객체 ▪클래스 :객체를 정의한 '설계도' 또는 '틀'과 같다. 그래..
[0711] 자바 기초 10 (배열) #배열 : 동일한 타입의 값들을 하나의 묶음으로 묶은 자료 구조를 의미한다. 배열은 동일한 타입의 많은 값을 저장하기 위해 많은 변수를 선언해야할 때 사용한다. 배열을 사용하는 이유는 비슷한 유형의 값들을 저장할 때 메모리공간을 절약하고, 변수 선언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배열의 차원 :배열의 차원은 배열이 중첩된 정도를 의미한다. 중첩의 의미는 배열안의 요소가 배열인 경우이다. *특징은 배열은 참조 타입으로 선언된다. 즉 배열을 선언할 때 변수명에는 배열의 주소값만 담긴다. 왜나하면 처음 배열이 선언될 때에 몇 개의 요소가 담길 지 모르기 때문이다. 주로 사용하는 1,2차원 배열만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 1차원 배열 : 배열의 요소가 배열이 아닌 배열. 타입 뒤에 []을 붙여 ..
[0710] 자바 기초 9 (콘솔 입/출력, 제어문) #콘솔 출력 : 프로그래밍 중 변수에 담긴 값을 확인하기 위해 출력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1) 출력: System.out.print() : 소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한다. (2) 출력 후 줄 바꿈: System.out.println() : 소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고 줄 바꿈을 한다. (3) 형식대로 출력하기: System.out.printf() : 지시자를 이용해 변수의 값을 여러 형식으로 출력한다. EX. System.out.printf(지시자, 출력내용); *지시자의 갯수와 출력내용의 수는 같아야 한다. System.out.printf("오늘은 %c요일입니다.%n", '월'); System.out.printf("이번달은 %s년%c월입니다.", "2023", '7'); //출력값 //오늘은 월요일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