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지/Today I learn

[0703] 자바 기초 3 (타입과 리터럴)

#타입
값의 유형 및 종류를 의미. 타입에 따라 결정되는 2가지가 있다.
(1) 값이 차지하는 메모리 공간의 크기.
(2) 값이 저장되는 방식
: 저장하고자 하는 값을 그대로 저장하는 기본 타입과 
값이 저장된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저장하는 참조 타입

 

#기본 타입과 참조 타입
(1) 기본타입

:데이터의 실제 값이 저장. [ex. 정수 (byte, short, int, long), 실수 (float, double), 문자 (char), 논리 (boolean)]

(2)참조타입

: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값이 저장. (위 8개의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 타입)

 

*출력시 차이점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 = 1;
	Object reference = new Object();
	System.out.println(num);
	System.out.println(reference);
    }
}

 

기본 타입: 1
출력 타입: java.lang.Object@626b2d4a

 

#리터럴
:문자 그대로의. 문자가 가리키는 값 그 자체를 의미. (ex. int num = 1; 에서 리터럴은 1이다.)


*리터럴은 변수의 타입과 일치되어야 한다. 
ex. 정수형 리터럴은 정수형 변수에 할당가능 (int num = 1;)
      문자형 리터럴은 문저형 변수에 할당가능 (char alphabet = a;)

*float 타입의 변수에 실수형 리터럴을 할당할 때, 리터럴 뒤에 접미사 f를 붙여주어야 합니다.
*long 타입의 변수에 정수형 리터럴을 할당할 때, 리터럴 뒤에 접미사 L을 붙여주어야 합니다.